-
문제상황이 닥쳤을때 개발자의 마인드라는것은 어떤것일까.
일단 문제가 일어나지않도록 미연에 방지해두는게 중요하다. 예방.
만약 문제가 발생했다면, 그 문제에 잡아먹히지 않고 잡아먹을 생각을한다.
ex1) 아, 늦잠잤네, 어떡하지? X
ex2) 아, 늦잠잤네, 택시타야겠다. X
ex3) 아, 늦잠잤네, 오늘은 빨리준비하고 다음부턴 좀더 일찍자거나 그래야겠다. O
ex2까지는 수동적이고 해결책이 그 순간의 문제만을 해결한다.
따라서 ex3과 같은 능동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자 그러면 예방의 관점에서 한번 생각해보자.
예방을 잘 하려면 설계가 잘 되어있어야한다.
소프트웨어개발주기에서 설계단계가 코딩,테스트,유지보수 전 단계인 이유일 것이다.
사실 설계이전에도 요구분석, 시스템분석이 있다. 설계하기전에도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코딩기법중에 무작정코딩이있다. 일단 개발도구를 실행시키고, 무작정 머리에 떠오르는대로 써내려간다.
당장 써지는 뭔가가 보이긴 하지만, 곧, 정말 바로 막혀버릴것이다.
반면 시작하기전에 끝을 미리 보고, 시뮬레이션을 머리로 몇차례 돌려본 후 실행에 옮기면 막히더라도 어디서 막혔는지 알게되고, 어디로 나아갈지 방향을 잡을 수 있다.
아무튼 취준생.. 은아니지만 취준생활을 미리 땡겨쓰고있는 입장에서 이런생각이든다.
'제가 지금은 조금 부족하나, 어떻게든 뽑아주신다면 최대한 적응하고 공부하여 최고의 아웃풋을 내겠습니다!' 라는 생각을 가진 취준생, 상당히 많다.
만약 지원직군이 개발쪽이라면, 감점요소일것이다. 회사입장에서 신입을 길러내는데 들어가는 돈이 많많지않다. 조금이라도 준비된 사람을 뽑지 않겠는가?
좋은 회사를 가려면, 그만큼의 역량을 갖추어야한다.
갖추지않은채로 운좋게 합격했다 하더라도, 피지컬 딸리면 자연스럽게 도태되기 마련일것이다.
그렇다. 준비하자. 준비.
문제상황에 당면했을때 그 해결능력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건 아예 그런 문제상황이 생기기 전에 예방하는것이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개발에 도움되는 사이트 (0) 2021.03.12 웹시작 하며 배운 새로운 개념 (0) 2021.02.28 백준 1699 제곱수의합 (0) 2021.02.13 인생은 복리다 (0) 2021.02.09 백준 14405 피카츄 (0) 2021.02.05